본문 바로가기
보고씨수첩

캐나다의 보복관세 | 미국-캐나다 관세전쟁 무역전쟁의 서막

by 보고씨 2025. 2. 2.
반응형

2025년 2월 2일, 캐나다에 대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즉각적인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바야흐로 미국- 캐나다 간 관세전쟁, 무역전쟁의 서막이 올랐습니다.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트럼프의 관세 부과 선언

 

캐나다-미국 관세전쟁 썸네일



트럼프 대통령은 2월 1일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25%의 관세를, 중국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때 체결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무력화시키는 조치로, 북미 최대 교역국들 간의 관계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캐나다의 대응


이에 대해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즉각적인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트뤼도 총리는 "우리는 1,5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조치는 2월 4일 화요일부터 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우선 시행되며, 21일 후 추가로 1,250억 달러 규모의 제품에 대해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트뤼도 총리는 또한 "우리의 대응은 미국의 관세와 마찬가지로 광범위할 것이며, 미국산 맥주, 와인, 버번, 과일, 주스, 채소, 향수, 의류, 신발 등 일상용품을 포함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경제적 영향


전문가들은 양국 간의 이러한 관세 조치가 양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트럼프의 25% 관세는 캐나다 GDP를 2.6%(약 780억 캐나다 달러)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 역시 GDP가 1.6%(약 4,670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캐나다가 미국과의 교역에 더 의존적이기 때문에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금재단(Tax Foundation)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에서는 약 34만 4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소비자들은 식료품과 자동차 가격 상승 등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각계 반응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양국 경제에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선 과일과 채소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은 거의 즉각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관세는 소비자와 기업이 상품과 서비스에 지불하는 가격을 인상시키는 수입품에 대한 세금"이라며, "관세는 지출, 무역 흐름, 정부 수입, 환율, 고용, 국내총생산(GDP) 및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자동차 산업도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25%의 관세로 인해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미국에서 판매되는 약 1,600만 대의 자동차 중 일부는 가격이 최대 3,0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향후 전망


이러한 관세 분쟁은 단순히 미국과 캐나다 간의 문제를 넘어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양국은 물론 멕시코와 중국까지 포함된 다자간 무역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이 우려됩니다.

 

 

 

트뤼도 총리는 "지리적으로 우리는 이웃이며, 역사적으로 우리는 친구이고, 경제적으로 우리는 파트너이며, 필요에 의해 우리는 동맹"이라는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말을 인용하며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양국 간 갈등이 쉽게 해소되기 어려워 보입니다.

앞으로 양국이 어떻게 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무역 질서를 수립할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무역 전쟁의 서막이 올랐고, 그 결과는 양국은 물론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트럼프 관세 정책 너무하네!' 관세 전쟁 신호탄?

 

'트럼프 관세 정책 너무하네!' 관세 전쟁 신호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2월 1일부터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강행했습니다. 이는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전략에 따른 첫 번째

bogoc.tistory.com

트럼프의 無慈悲 이민정책: CBP One 앱 중단! 망명 이민 난민 차단! 불법 이민자 추방!

 

트럼프의 無慈悲 이민정책: CBP One 앱 중단! 망명 이민 난민 차단! 불법 이민자 추방!

취임 즉시 200개의 행정명령, 각서에 서명했다고 전해지는 트럼프. 그 가운데엔 무자비한 이민정책도 있습니다. 국경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불법 이민자들을 추방하고, 망명 이민 난민의 입국을

bogoc.tistory.com

트럼프, 불법 이민자 추방 시작됐나? | 국경비상사태 이민정책 행정명령

 

트럼프, 불법 이민자 추방 시작됐나? | 국경비상사태 이민정책 행정명령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매우 강경한 이민 정책을 행정명령으로 발표하고 시행에 옮기기 시작했습니다. 그 핵심에 있는 것이 남부 국경 비상사태 선포 및 통제, 그리고 불법 이민자 추방입니

bogoc.tistory.com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에너지 정책에 대한 행정명령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화석연료 생산 확대, 기후변화 대응 정책 후퇴로 요약되는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

mohac.tistory.com

트럼프 취임식 연설에서 발표된 주요 정책들 TOP 9 | 원문 번역본+풀이와 우려

 

트럼프 취임식 연설에서 발표된 주요 정책들 TOP 9 | 원문 번역본+풀이와 우려

한국시간 기준 1월 21일 오전 2시, 도널드 트럼프가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두 번째 취임을 했습니다. 취임식 연설에서 발표된 주요 정책들 TOP 9 소개합니다. 원문 번역본과 함께 각 정책의 의미

mohac.tistory.com

트럼프의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와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의 충돌

 

트럼프의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와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의 충돌

트럼프 대통령의 야심찬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실리콘밸리 거물들 사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만이 공개적으로 충돌한 것이 그것인데,

gongyu.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