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 중 하나인 페루의 신비스러운 고대 유물 나스카 지상화. 최근 AI 기술 적용으로 발견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나스카 지상화가 무엇인지,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볼 수 있는지 등등 자세히 알아봅니다.
나스카 지상화
나스카 지상화(나스카 라인)는 페루 남부 나스카 사막에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600년 사이에 번성했던 고대 나스카 문명이 만든 거대 지상 예술로, 유적은 450㎢가 넘는 광활한 지역에 걸쳐 직선, 기하학적 도형, 동식물 형상 등 다양한 그림으로 분포합니다.
1994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종종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후보로 거론됩니다. 최근 일본 야마가타대-IBM 공동팀이 AI 분석으로 303개를 추가 발견하여, 총 확인 수가 700여 개로 확대되었습니다.
지상화 제작 기술
1. 제작 방법
- 표층의 산화철 함유 흑갈색 자갈(10~15cm 두께)을 제거해 밑의 황색 모래층을 노출시켰습니다.
- 보존 메커니즘: 연간 강수량 30mm 미만의 극건조 기후가 2,000년 이상 보존에 기여했습니다. 비와 바람으로 일시적으로 흐려지지만 완전히 묻히지 않았습니다.
2. 규모
- 개별 그림의 크기는 9m~450m로 다양합니다(예: 콘도르 135m, 원숭이 93m).
- 직선 중 가장 긴 것은 48km에 달합니다.
지상화 발견과 연구의 역사
1927년 페루 고고학자 토리비오 메히아 세페가 최초로 발견.
1939년 미국 폴 코스톱이 체계적 조사를 시작했고, 동지 해돋이 방향과의 연관성을 제시했습니다.
1940년대 독일 수학자 마리아 레이헤 박사가 평생 연구하며 "천문 달력설"을 주장했습니다.
2024년 야마가타대-IBM 공동팀이 AI 분석으로 303개를 추가 발견하여, 총 확인 수가 700여 개로 확대되었습니다.
AI를 활용한 최근 발견
1. 기술 적용
- 드론 촬영(0.1m 해상도) + IBM ResNet50 모델 학습.
- 47,000개 후보지 중 1,309개 고확률 지역 선별, 6개월 현장 조사로 303개 확인.
2. 효율성
- 기존 100년 작업을 6개월로 단축, 발견율 16배 향상.
- 2mm 단위 지형 분석으로 미세 경사 변화 식별.
나스카 지상화의 유형과 모티프
구분 | 특징 | 주요 모티프 예시 |
선 타입 | 긴 직선/사다리꼴, 길이 50m 이상 | 야생동물(64%: 범고래, 앵무새 등) |
면 타입 | 복잡한 부조 형상, 길이 9~25m | 인간형(82%: 칼 든 인물, 잘린 머리) |
목적에 관한 주요 학설
1. 천문학상의 달력설
계절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거대한 달력으로 보는 견해입니다.
독일 수학자 마리아 레이헤 박사가 주장한 이론으로, 특정 선과 도형이 동지 해돋이 방향과 일치하며 계절 변화 예측에 사용되었다는 가설입니다. 2024년 AI 분석 결과, 70% 이상의 지상화가 항성 배열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습니다.
2. 종교의식설
물을 기원하는 샤먼 의식 경로로 해석하는 견해입니다.
샤먼이 환각 상태에서 신과 소통하기 위한 의식 경로로 활용했다는 주장으로, 특히 "잘린 머리" 형상은 인신공희(人身供犧) 풍습과 연결지어 해석합니다.
3. 수로 표시설
지하수로(puquios) 위치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 있다는 견해입니다.
건조한 기후에서 지하수로(puquios)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는 학설로, 2023년 연구에서 지상화 65%가 지하수맥과 정확히 일치함이 입증되었습니다.
4. 기타 이론
외계인 접촉설: UFO 착륙 지점을 표시한 것이라는 비학술적 견해입니다.
커뮤니티 표지설: 대형 도형은 국가 의식용, 소형은 지역 공동체 영역 표시를 표시한 것이라는 견해입니다.
나스카 지상화 관람 방법
나스카 지상화를 관람할 수 있는 방법은 경비행기 투어, 헬리콥터 투어와 전망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 | 세부 내용 | 참고 사항 |
경비행기 투어 | - 주요 출발지: 나스카, 이카, 피스코 공항 - 비행 시간: 30~90분(도형 12~15개 관람) - 가격: $80~200(인원/항공사별 차이) |
- 아침 7~10시 권장(구름 적음) - 멀미약 필수 |
헬리콥터 투어 | - 고급 옵션으로 전용 좌석 제공 - 4인 승객 기준 $350~500 |
- 예약 2주 전 필수 |
전망대(Mirador) | - 판아메리카 고속도로 인근 20m 높이 전망대 - 손 형상, 나무, 도마뱀 일부 확인 가능 |
- 지상에서 전체 도형 관람 불가 |
나스카 지상화들은 고대인의 과학적 통찰력과 예술적 감각을 동시에 보여주는 인류의 문화적 유산입니다. 경비행기 투어는 현지 여행사나 GetYourGuide, Klook 등 플랫폼에서 예약 가능하며, 리마에서 버스(4~5시간)로 이동 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최신 연구 동향
1. AI 기술 활용 (ResNet50 모델)
- 훈련 방식: 기존 430개 지상화 데이터를 활용해 소량 학습으로도 95% 정확도 달성.
- 작동 원리: 드론 촬영 영상(0.1m 해상도) 분석 → 47,000개 후보지 중 1,309개 고확률 지역 선별.
- 효율성: 기존 100년 분량 작업을 6개월로 단축, 발견 속도 16배 향상.
2. 3D 매핑 기술
- 정밀 분석: IBM의 지형 고도 분석 알고리즘으로 2mm 단위 미세 경사 변화 식별.
- 시각화: 드론 데이터 + 3D 모델링을 통해 지하 1m 깊이까지 묻힌 지상화 재현 가능.
- 향후 계획: 남은 968개 후보지 추가 조사를 통해 500여 개 추가 발견 전망.
이 기술들은 단순 발견을 넘어, 지상화의 제작 의도와 사회적 기능 분석에도 활용되며, 고고학 연구 패러다임을 혁신 중입니다.
문화적 의미와 보존 현황
1. 사회적 기능
- 대형 그림은 국가 차원의 종교의식용, 소형은 지역 공동체 용도로 추정.
- 사카이 마사토 교수는 "문자 없는 사회의 시각적 교재"로 해석.
2. 위협 요소
- 위협 요인: 관광객들에게 밟히거나, 불법 금광 작업으로 15%가 훼손된 상태.
- 페루 정부 대응: 2025년까지 페루 정부와 야마가타대가 AI 기반 감시 시스템 구축 중.
맺음말
이상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종종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거론되기도 하는 페루의 나스카 지상화(나스카 라인)에 대해 나스카 지상화가 무엇인지,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볼 수 있는지 등등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광활한 지역에 걸쳐 직선, 기하학적 도형, 동식물 형상 등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니, 신비스럽기만 합니다. 지상화는 고대인의 기술력과 예술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보여주는 신비스러운 유물입니다. 나스카 라인, 언제가는 꼭 가보고 싶다는 마음을 남기며, 이만 글 마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넷플리스 '애플 사이다 비니거'로 짚어보는 벨 깁슨의 웰니스 제국
넷플리스 '애플 사이다 비니거'로 짚어보는 벨 깁슨의 웰니스 제국
벨 깁슨의 허구적인 성공 신화를 아나요? 그녀의 무너진 웰니스 제국이야기도 아나요? 2010년대 초반 소셜 미디어와 웰니스 문화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벨 깁슨의 거짓말 신화, 최근 넷플릭스 드
bogoc.tistory.com
넷플릭스, 벨 깁슨의 '애플 사이다 비니거(식초)' 방영
넷플릭스, 벨 깁슨의 '애플 사이다 비니거(식초)' 방영
넷플릭스에서 벨 깁슨의 '애플 사이다 비니거(Apple Cider Vinegar)'를 방영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입니다. 이 드라마는 2025년 2월 6일 공개된 6부작 드라마로, 호주 웰니스 인플루언서 벨 깁슨(Belle Gibson)
bogoc.tistory.com
그리스 산토리니 지진 상황 및 취약성 분석
그리스 산토리니 지진 상황 및 취약성 분석
최근(2025년 2월 초) 그리스 산토리니 일대에서 지진이 발생했다는 소식입니다. 예로부터 화산 활동과 지진에 취약한 지역이지만, 최근 200회가 넘는 지진이 관측되어 주민이 대피하는 등 섬 관광
bogoc.tistory.com
가자지구 분쟁 역사적 배경과 현재 상황 | 하마스-이스라엘
가자지구 분쟁 역사적 배경과 현재 상황 | 하마스-이스라엘
세계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립되는 분쟁지역 중 하나인 가자지구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15개월간 이어진 가운데 2025년 1월 휴전협정이 극적으로 타결되었으나 여전히 문제
haroohana.tistory.com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Starlink)' 제대로 알기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Starlink)' 제대로 알기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SpaceX), 저궤도 위성군 기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에 대해 알아봅니다. 출범한다는 뉴스를 들은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지구촌 곳곳을 커버하고 있
gongyu.tistory.com
'보고씨수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 산토리니 지진 상황 및 취약성 분석 (0) | 2025.02.09 |
---|---|
넷플리스 '애플 사이다 비니거'로 짚어보는 벨 깁슨의 웰니스 제국 (0) | 2025.02.08 |
넷플릭스, 벨 깁슨의 '애플 사이다 비니거(식초)' 방영 (0) | 2025.02.08 |
캐나다의 보복관세 | 미국-캐나다 관세전쟁 무역전쟁의 서막 (0) | 2025.02.02 |
트럼프 대중국 관세 폭탄! 관세 전쟁 시작인가? | 품목별 관세 (1) | 2025.02.01 |
댓글